교수

이익주

역사학자

장르 셀럽 / 교수
구성 1명
조회수 31,966회

아티스트 소개

역사저널 그날, 책 읽어주는 나의서재

더보기 +

작품 및 멤버소개

-논문-
석사 학위논문 〈고려 충렬왕대의 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〉(1987)
박사 학위논문 〈고려·원관계의 구조와 고려후기 정치체제〉(1996)
〈고려 충렬왕대의 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〉, 《한국사론》18(1988)
〈충선왕 즉위년(1298) ‘개혁정치’의 성격-관제 개편을 중심으로-〉, 《역사와 현실》7(1992)
〈고려후기 사대부와 권문세족에 대한 새로운 이해〉, 《역사와 현실》8(1992)
〈고려후기 몽고침입과 민중항쟁의 성격〉, 《역사비평》24(1994)
〈고려 후기 정치체제의 변동과 정치세력의 추이〉, 《한국사5: 중세사회의 성립1》(1994, 한길사)
〈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〉, 《역사와 현실》15(1995)
〈고려 대몽항쟁기 강화론의 연구〉, 《역사학보》151(1996)
〈고려·원관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-소위 ‘세조구제(世祖舊制)’의 분석을 중심으로-〉, 《한국사론》36(1996)
〈고려무인집권기의 구조적 이해를 위하여〉, 《한국역사연구회회보》26(1996)
〈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 건국〉, 《역사와 현실》29(1998)
〈14세기 전반 고려·원관계와 정치세력 동향-충숙왕대의 심왕옹립운동을 중심으로-〉, 《한국중세사연구》9(2000)
〈한국의 고려·일본관계사 연구동향〉《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》 , (2000, 혜안)
〈高麗·日本關係史硏究〉《日本と韓國の歷史敎科書を讀む視点》, (2000, 梨の木舍)
〈14세기 전반 성리학 수용과 이제현의 정치활동〉, 《전농사론》7(2001)
〈한국사학 논문의 의미와 조건〉 , 《건축역사연구》10-4(2001)
〈蒙古帝國の侵略と高麗の抵抗〉, 《歷史評論》619(2001)
〈고려후기 겸직제의 연구-충렬왕대 4司 관직의 겸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-〉, 《인문과학》9(2002)
〈원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〉, 《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》(2002, 역사비평사)
〈14세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성리학 수용과정의 연구-민지의 사례를 중심으로-〉, 《역사와 현실》49(2003)
〈고려후기 단군신화 기록의 시대적 배경〉, 《문명연지》4-2(2003)
〈고려시대 남경 연구의 현황과 과제〉, 《도시역사문화》3(2005)
〈고려 말 정도전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〉, 《동방학지》134(2006)
〈묘지명 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관인의 생애-김변(1248~1301)의 사례-〉, 《한국사학보》23(2006)
〈공민왕대의 개혁정치와 한양천도론〉, 《향토서울》68(2006)
〈『목은집』의 간행과 사료적 가치〉, 《진단학보》102(2006)
〈원의 ‘부마국’으로서의 고려국가의 성격〉, 《한국사시민강좌》40(2007)
〈고려 우왕대 이색의 정치적 위상에 대한 연구〉, 《역사와 현실》68(2008)
〈『목은시고』를 통해 본 고려 말 이색의 일상-1379년(우왕 5)의 사례-〉, 《한국사학보》32(2008)
〈고려-몽골 관계사 연구 시각의 검토: 고려-몽골 관계사에 대한 공시적, 통시적 접근〉, 《한국중세사연구》27(2009)
〈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고려-원·명-일본 관계〉, 《진단학보》114(2012)
〈조선 초기 경복궁 서쪽 지역의 장소성과 세종 탄생지〉, 《서울학연구》47(2012)
〈한국 고대, 고려시대 경(京)ㆍ외(外) 차별과 수도의 위상〉, 《서울학연구》52(2013)
〈1356년 공민왕 반원정치 재론〉, 《역사학보》255(2015)
〈고려 전기 ‘상경(上京)’을 통해 본 개경의 위상〉, 《서울학연구》60(2015)
〈1219년(高宗 6) 고려-몽골 "형제맹약" 재론〉, 《동방학지》175(2016)
〈14세기 후반 고려-원 관계의 연구〉, 《동북아역사논총》53(2016)
〈Trends and Prospects: Historical Studies on Koryŏ-Mongol Relationship in the 13-14th centuries〉, 《The Review of Korean Studies》19(2016)
〈고려-몽골 전쟁 초기(1231~1232)의 강화 협상 연구〉, 《한국사연구》180(2018)
〈역사 전공교육의 질문, ‘어떻게’에서 ‘왜’로〉, 《역사와 현실》117(2020)
〈고려 충목왕대의 정치도감 재론〉, 《진단학보》134(2020)
〈무학 자초의 정치 활동에 대한 재검토 - 한양 천도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-〉, 《서울학연구》85(2021)
〈고려 말 정치참여 기회의 확대; ‘진시무’를 중심으로〉, 《한국·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》(2021)

더보기 +